[CS] 프로젝트에 어떤 라이선스를 적용해야 될까?
·
Dev log/CS
개요이번에 새롭게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초반 프로젝트 구성을 위해서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라이선스에 대한 부분을 언급하게 됐는데, 사실 뭔가 라이선스 = 저작권? 이라는 정도로만 가볍게 이해하고 있었는데 조금 찾다보니 생각과는 다르게 적용이 되는것 같아 지난 학기 오픈소스 수업때 들었던 내용과, 이번에 찾아보는 내용들을 잘 정리해서 포스팅을 해보려 한다.저작권과 라이선스우리가 프로젝트에 적용할 라이선스를 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헷갈리는 개념인 저작권과 라이선스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저작권창작물을 만든 사람에게 부여되는 권리창작물이 만들어지는 순간 자동으로 발생라이선스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타인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계약라이선스에는 저작권자가 허락하는 이용 범위, 조건, 기간 등..
[C/C++] 백준 1197번(최소 스패닝 트리) & 크루스칼 알고리즘
·
Dev log/CS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97 1197번: 최소 스패닝 트리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V(1 ≤ V ≤ 10,000)와 간선의 개수 E(1 ≤ E ≤ 100,000)가 주어진다. 다음 E개의 줄에는 각 간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세 정수 A, B, C가 주어진다. 이는 A번 정점과 B번 정점이 www.acmicpc.net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V(1 ≤ V ≤ 10,000)와 간선의 개수 E(1 ≤ E ≤ 100,000)가 주어진다. 다음 E개의 줄에는 각 간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세 정수 A, B, C가 주어진다. 이는 A번 정점과 B번 정점이 가중치 C인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C는 음수일 수도 있으며, 절댓값이 1,000,000을 넘지..
[C/C++] 백준 1753번(최단 경로)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Dev log/CS
그래프 관련 문제는 DFS, BFS만 하다 오늘 새롭게 만나게 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해야 되는 문제를 풀게 되었고, 개념정리와 문제에 대한 풀이 이해를 위해 포스팅 해보았다.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53 1753번: 최단경로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주어진다. (1 ≤ V ≤ 20,000, 1 ≤ E ≤ 300,000) 모든 정점에는 1부터 V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고 가정한다. 둘째 줄에는 시작 정점의 번호 K(1 ≤ K ≤ V)가 www.acmicpc.net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주어진다. (1 ≤ V ≤ 20,000, 1 ≤ E ≤ 300,000) 모든 정점에는 1부터 V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고 ..
[CS] 온라인 게임은 어떻게 매크로 프로그램을 감지할까?
·
Dev log/CS
누구나 매크로 프로그램에 피해를 많이 본다. 가장 흔하게 듣는 사례는 티켓팅 혹은 게임 내 매크로 플레이이다. 티켓팅은 그렇게 얻어낸 티켓을 암표로 판매하여 사회에 불필요한 차액을 발생하게 만든다. 게임 내 매크로 또한 매크로성 플레이를 하게 된다면 게임 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기에 매크로를 적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매크로를 적발해내는 것일까? 매크로 감지하기키 입력 감지매크로 프로그램은 대체로 키보드와 마우스의 입력을 세팅하여 개임 내 행동으로 자동화하게 한다. 만일 게임에서 키 입력을 감지하여 일정한 패턴이나 속도로 입력되는 경우가 보인다면 이는 매크로 프로그램일 가능성이 있다. 게임에서는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게임 내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감지되는 ..
[C/C++] 전역변수는 왜 자동으로 초기화가 될까?
·
Dev log/CS
아마 여러 알고리즘을 풀면서 전역변수로 선언을 하게 되는 일부 변수들이 있다. 대체로 메인과 함수 등 여러 곳에서 사용하기 위함도 있겠지만, 자동으로 초기화가 되기에 NULL로 인해 생기는 문제들에 대한 것도 해결이 되기에 전역변수를 쓰는 경우도 분명히 존재한다. 본인도 위의 두가지의 경우에 전역변수를 사용하는데, 전역변수가 자동으로 초기화가 되는 부분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전역변수 전역변수란 어떤 변수 영역 내에서도 접근할 수 있는 변수를 의미한다.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메모리에 할당이 되면, 죽을 때까지 계속 메모리에 남아있는 친구이다. 하나의 변수를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전역변수의 가장 큰 특징이다. 하지만 전역변수를 남발할 경우 코드가 꼬여버릴 수 있다..
[C#] 정적타이핑과 동적타이핑
·
Dev log/CS
레트로의 유니티 2부를 마쳤다. 공부를 하면서 나타났던 부분 중 Int형과 같이 일반적으로 타입을 명시한 변수형이 있지만, var, dynamic 처럼 런타임 중에 변수의 타입이 정해지는 키워드 들도 존재했었다. 그래서 찾아보던중 동적타이핑과 정적타이핑에 대한 점을 정리하다 보면 도움이 되겠다 생각해서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되었다. 정적타이핑과 동적타이핑정적타이핑C와 JAVA가 정적타이핑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언어컴파일 시간에 검사를 하기에 실행시 성능이 올라가며, 미리 버그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동적타이핑Python, Javascript가 동적타이핑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언어런타임까지 결정을 미루게 되기에 유연함과 편리함이 장점이를 통해 이 둘의 비교를 해봤다. C#에서는 정적타이핑을 기용하는것으로 판..
0Hooni
'Dev log/CS' 카테고리의 글 목록